레닌주의의 기초/방법: 두 판 사이의 차이

좌파도서관
(작성 중...)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6번째 줄:
|장 이름 = II. 방법
|장 이름 = II. 방법
|내용 = 나는 이미 한편으로는 마르크스와 엥겔스, 다른 한편으로는 레닌 사이에 제 2 인터내셔널의 기회주의가 지배하는 전체 기간이 있다고 말했다. 정확성을 위해 내가 염두에 둔 것은 기회주의의 형식적 지배가 아니라 실제 지배라는 점을 덧붙였다. 형식적으로는, 제2인터내셔널은 ‘충성스러운’ 맑스주의자들과 ‘정통파’−카우츠키 등에 의해 지도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제2인터내셔널의 주요 활동은 기회주의 노선을 추종했다. 기회주의자들은 그들의 순응적인 프티부르주아적 속성 때문에 스스로 부르주아지에 순응했다. ‘정통파’는 또한 ‘당내 평화’를 위하고 기회주의자들과 ‘연합을 유지’한다는 명목으로 그들에게 순응했다. 따라서 부르주아지의 정책과 ‘정통’의 정책 간의 연계는 긴밀해졌고 그 결과로 기회주의는 유례없이 위세를 떨쳤다.
|내용 = 나는 이미 한편으로는 마르크스와 엥겔스, 다른 한편으로는 레닌 사이에 제 2 인터내셔널의 기회주의가 지배하는 전체 기간이 있다고 말했다. 정확성을 위해 내가 염두에 둔 것은 기회주의의 형식적 지배가 아니라 실제 지배라는 점을 덧붙였다. 형식적으로는, 제2인터내셔널은 ‘충성스러운’ 맑스주의자들과 ‘정통파’−카우츠키 등에 의해 지도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제2인터내셔널의 주요 활동은 기회주의 노선을 추종했다. 기회주의자들은 그들의 순응적인 프티부르주아적 속성 때문에 스스로 부르주아지에 순응했다. ‘정통파’는 또한 ‘당내 평화’를 위하고 기회주의자들과 ‘연합을 유지’한다는 명목으로 그들에게 순응했다. 따라서 부르주아지의 정책과 ‘정통’의 정책 간의 연계는 긴밀해졌고 그 결과로 기회주의는 유례없이 위세를 떨쳤다.
이 시기는 자본주의가 비교적 평화롭게 발전하던 시기, 말하자면 제국주의의 파국적 모순이 아직 그토록 극명하게 드러나지 않았고 노동자들의 경제 파업과 노동조합이 어느 정도 '정상적으로' 발전하던 시기, 선거 운동과 의회 단체들이 '어지러울 정도로' 성공을 거두던 전쟁 전의 시기였다. 합법적인 형태의 투쟁이 하늘을 찌를 듯 찬사를 받았을 때, 그리고 자본주의가 합법적인 수단에 의해 "죽음을 맞이할" 것이라고 생각되었을 때, 즉 제2인터내셔널의 정당들이 안주하며 혁명, 프롤레타리아 독재, 대중의 혁명적 교육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할 성향이 없었을 때를 이야기한다.
완전한 혁명이론 대신에 모순된 가설과 단편적 이론이 있었고, 그것은 대중들의 실제적 혁명투쟁으로부터 유리되어 진부한 도그마로 변질되었다. 물론 체면치례로 맑스의 이론이 언급되었지만, 그것은 맑스의 이론으로부터 그것의 생생한 혁명적 정신을 박탈한 것이었을 뿐이다.
혁명적 정책 대신에, 무기력한 속물근성과 정치적 타협, 의회주의적 외교술과 의회주의적 음모가 있었다. 물론 체면치례로 ‘혁명적’ 결의안과 슬로건이 채택되었으나 서류함에 처박혀 묵살되어 버렸을 뿐이다.
당이 자신의 오류를 논거로 하여 정확한 혁명적 전술을 훈련받고 교육받는 대신에, 그럴싸하게 꾸며지거나 베일에 가려져 있던 난처한 문제들을 고의적으로 회피하고 있었다. 물론 외관상 논쟁중인 문제를 토론하는 것에 대한 반대는 없었지만 그것은 일종의 ‘유연한’ 결의로 매듭짓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것이 제2인터내셔널의 외형이자, 그것의 사업방식, 그것의 병기고였다.
한편, 제국주의전쟁과 프롤레타리아트의 형식적 전투의 새로운 시기가 다가오고 있었다. 낡은 투쟁방식들은 금융자본의 전지전능한 권력 앞에서 부적합하고 무기력하다는 것이 명백하게 입증되고 있었다.
제2인터내셔널의 활동 전체, 사업방식 전반을 철저히 조사하고 모든 속물근성, 편협성, 정치적 음모, 변절, 사회 배외주의와 사회평화주의를 축출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녹슬고 낡은 모든 것을 버리고 새로운 무기를 만들기 위해 제2 인터내셔널의 전체 무기고를 조사해야했다. 이러한 사전작업 없이는 자본주의와의 전쟁을 시작하는 것은 쓸모없는 일이었다. 이 작업이 없다면 프롤레타리아트는 향후 혁명적 전투에서 무기를 제대로 갖추지 못하거나 심지어 완전히 무장하지 못할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제2 인터내셔널의 아우게이아스 마구간을 전반적으로 정비하고 청소한 영광은 레닌주의에 돌아갔다.
이것이 레닌주의의 방법이 탄생하고 발전한 조건이었다.
이러한 방법의 필요조건은 무엇인가?
첫째, 제2인터내셔널의 이론적 도그마를 대중들의 혁명적 투쟁과 생생한 실천이라는 용광로 속에서 검증하는 것−말하자면 이론과 실천 간의 손상된 통일을 회복시키는 것과 그것들 사이의 균열을 해소시키는 것, 왜냐하면 오직 이러한 방법으로써만 혁명이론으로 무장된 프롤레타리아당이 건설될 수 있기 때문이다.
}}
}}

2024년 6월 13일 (목) 22:03 판

레닌주의의 기초
II. 방법

나는 이미 한편으로는 마르크스와 엥겔스, 다른 한편으로는 레닌 사이에 제 2 인터내셔널의 기회주의가 지배하는 전체 기간이 있다고 말했다. 정확성을 위해 내가 염두에 둔 것은 기회주의의 형식적 지배가 아니라 실제 지배라는 점을 덧붙였다. 형식적으로는, 제2인터내셔널은 ‘충성스러운’ 맑스주의자들과 ‘정통파’−카우츠키 등에 의해 지도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제2인터내셔널의 주요 활동은 기회주의 노선을 추종했다. 기회주의자들은 그들의 순응적인 프티부르주아적 속성 때문에 스스로 부르주아지에 순응했다. ‘정통파’는 또한 ‘당내 평화’를 위하고 기회주의자들과 ‘연합을 유지’한다는 명목으로 그들에게 순응했다. 따라서 부르주아지의 정책과 ‘정통’의 정책 간의 연계는 긴밀해졌고 그 결과로 기회주의는 유례없이 위세를 떨쳤다.


이 시기는 자본주의가 비교적 평화롭게 발전하던 시기, 말하자면 제국주의의 파국적 모순이 아직 그토록 극명하게 드러나지 않았고 노동자들의 경제 파업과 노동조합이 어느 정도 '정상적으로' 발전하던 시기, 선거 운동과 의회 단체들이 '어지러울 정도로' 성공을 거두던 전쟁 전의 시기였다. 합법적인 형태의 투쟁이 하늘을 찌를 듯 찬사를 받았을 때, 그리고 자본주의가 합법적인 수단에 의해 "죽음을 맞이할" 것이라고 생각되었을 때, 즉 제2인터내셔널의 정당들이 안주하며 혁명, 프롤레타리아 독재, 대중의 혁명적 교육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할 성향이 없었을 때를 이야기한다.


완전한 혁명이론 대신에 모순된 가설과 단편적 이론이 있었고, 그것은 대중들의 실제적 혁명투쟁으로부터 유리되어 진부한 도그마로 변질되었다. 물론 체면치례로 맑스의 이론이 언급되었지만, 그것은 맑스의 이론으로부터 그것의 생생한 혁명적 정신을 박탈한 것이었을 뿐이다.

혁명적 정책 대신에, 무기력한 속물근성과 정치적 타협, 의회주의적 외교술과 의회주의적 음모가 있었다. 물론 체면치례로 ‘혁명적’ 결의안과 슬로건이 채택되었으나 서류함에 처박혀 묵살되어 버렸을 뿐이다.


당이 자신의 오류를 논거로 하여 정확한 혁명적 전술을 훈련받고 교육받는 대신에, 그럴싸하게 꾸며지거나 베일에 가려져 있던 난처한 문제들을 고의적으로 회피하고 있었다. 물론 외관상 논쟁중인 문제를 토론하는 것에 대한 반대는 없었지만 그것은 일종의 ‘유연한’ 결의로 매듭짓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것이 제2인터내셔널의 외형이자, 그것의 사업방식, 그것의 병기고였다.


한편, 제국주의전쟁과 프롤레타리아트의 형식적 전투의 새로운 시기가 다가오고 있었다. 낡은 투쟁방식들은 금융자본의 전지전능한 권력 앞에서 부적합하고 무기력하다는 것이 명백하게 입증되고 있었다.


제2인터내셔널의 활동 전체, 사업방식 전반을 철저히 조사하고 모든 속물근성, 편협성, 정치적 음모, 변절, 사회 배외주의와 사회평화주의를 축출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녹슬고 낡은 모든 것을 버리고 새로운 무기를 만들기 위해 제2 인터내셔널의 전체 무기고를 조사해야했다. 이러한 사전작업 없이는 자본주의와의 전쟁을 시작하는 것은 쓸모없는 일이었다. 이 작업이 없다면 프롤레타리아트는 향후 혁명적 전투에서 무기를 제대로 갖추지 못하거나 심지어 완전히 무장하지 못할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제2 인터내셔널의 아우게이아스 마구간을 전반적으로 정비하고 청소한 영광은 레닌주의에 돌아갔다.


이것이 레닌주의의 방법이 탄생하고 발전한 조건이었다.


이러한 방법의 필요조건은 무엇인가?


첫째, 제2인터내셔널의 이론적 도그마를 대중들의 혁명적 투쟁과 생생한 실천이라는 용광로 속에서 검증하는 것−말하자면 이론과 실천 간의 손상된 통일을 회복시키는 것과 그것들 사이의 균열을 해소시키는 것, 왜냐하면 오직 이러한 방법으로써만 혁명이론으로 무장된 프롤레타리아당이 건설될 수 있기 때문이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