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아: 두 판 사이의 차이
좌파도서관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이데아'''(<small>그리스어</small>: ιδέα) 또는 '''에이도스'''(<small>그리스어</small>: εἶδος)는 형태, 형식을 의미하는 말로, 개별 사물의 근저에 존재하는 형이상학적 불변자를 의미한다. 한자어로 '''원상'''(原像), '''형식'''(形式), '''이념'''(理念) 등으로 번역되는데, 각 학자의 용법에 따라 다르게 칭해진다. | '''이데아'''(<small>그리스어</small>: ιδέα) 또는 '''에이도스'''(<small>그리스어</small>: εἶδος)는 형태, 형식을 의미하는 말로, 개별 사물의 근저에 존재하는 형이상학적 불변자를 의미한다. 한자어로 '''원상'''(原像)<ref>현상학 계통에서 이데아는 에드문드 후설의 영향에 따라 원상으로 번역된다.</ref>, '''형식'''(形式)<ref>아리스토텔레스는 이데아를 당대 '형식'이라는 일반적 뜻을 지닌 에이도스라고 칭하였다. 이데아에 대한 이러한 용법은 서양철학에서 이마누엘 칸트로까지 올라가게 된다.</ref>, '''이념'''(理念)<ref>헤겔은 칸트적 의미에서의 형식과 이데아로서의 개념, 즉 객관적 개념인 이념을 구분하였다. 헤겔에게서 이데아는 후자에 속하며, 전자는 절대이념의 특정한 외화 단계에서 생성되고 소멸되는 것으로 된다.</ref> 등으로 번역되는데, 각 학자의 용법에 따라 다르게 칭해진다. | ||
== 개요 == | == 개요 == |
2022년 4월 14일 (목) 18:31 판
이데아(그리스어: ιδέα) 또는 에이도스(그리스어: εἶδος)는 형태, 형식을 의미하는 말로, 개별 사물의 근저에 존재하는 형이상학적 불변자를 의미한다. 한자어로 원상(原像)[1], 형식(形式)[2], 이념(理念)[3] 등으로 번역되는데, 각 학자의 용법에 따라 다르게 칭해진다.
개요
플라톤은 스승 소크라테스의 가르침을 ≪대화편≫을 통해 전한다. 이데아론의 맹아로 여겨지는 대화편인 ≪라케스≫에서 소크라테스는 '개별 사물 모두에 내재해 있으면서 그 동일성을 유지하는 것'이 있을 수밖에 없음을 추론하고 이것을 이데아라고 칭한다.[4]
이데아는 단순히 특수자에 대한 보편자 또는 종에 대한 유라고 취급될 수는 없다. 가령, A의 이데아로서 A', B의 이데아로서 B'가 있다고 할 때, B'는 B의 이데아지만, B의 보편자로 환원할 수는 없다. 가령, 참새, 독수리, 닭을 조류라고 묶을 때, 후자를 전자에 대한 이데아라고 규정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데아는 단순 보편으로 묶어지는 개념이 아니라, 개별 사물 그 자체에 내재해 있는, 그것의 본질자이며, 시종일관 동일성을 갖는 형이상학적 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