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당 선언/소부르주아적 사회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좌파도서관
Karl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Karl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13번째 줄:




프랑스와 같이 농민 계급이 인구의 절반을 훨씬 넘는 나라들에서는, 부르주아지에 맞서 프롤레타리아트의 편에 선 문필가들이 부르주아 체제를 비판할 때 소부르주아·소농민적 기준을 갖다 붙이거나 소부르주아의 관점에서 노동자들을 편든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이렇게 해서 소부르주아적 사회주의가 생겨났다. 시스몽디(21)는 프랑스에서 뿐만 아니라 영국에서도 이러한 문헌의 우두머리다.
프랑스와 같이 농민 계급이 인구의 절반을 훨씬 넘는 나라들에서는, 부르주아지에 맞서 프롤레타리아트의 편에 선 문필가들이 부르주아 체제를 비판할 때 소부르주아·소농민적 기준을 갖다 붙이거나 소부르주아의 관점에서 노동자들을 편든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이렇게 해서 소부르주아적 사회주의가 생겨났다. 시스몽디<ref>역자의 주 -- Jean Charles Sismonde de Sismondi(1773~1842년)   스위스의 경제학자, 역사가. '소부르주아적인 입장에서 자본주의를'(레닌) 비판했으며 소생산을 이상형으로 제시했다.</ref>는 프랑스에서 뿐만 아니라 영국에서도 이러한 문헌의 우두머리다.




25번째 줄: 25번째 줄:




이러한 노선이 좀더 발전하게 되자 그것은 결국 비겁한 푸념에 빠지고 말았다[19].  
이러한 노선이 좀더 발전하게 되자 그것은 결국 비겁한 푸념에 빠지고 말았다<ref>편집자의 주 -- 1888년판에는 이 문장이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결국 어쩔 수 없는 역사적 사실들에 의해 자기 기만의 황홀함이 모두 깨지고 나자, 이러한 형태의 사회주의는 가련한 푸념으로 변질되어 버렸다."</ref>.
<hr>
{{문단 내 각주}}
}}
}}


[[분류:문헌자료실]]
[[분류:문헌자료실]]

2022년 3월 8일 (화) 13:21 판

공산당 선언

부르주아지에 의해 타도되어 현대 부르주아 사회에서 그 생활 조건이 나빠지고 소멸해 가는 계급은 봉건 귀족만이 아니다. 중세의 성외(城外) 시민과 소농민은 현대 부르주아지의 선구자였다. 상공업의 발전이 뒤진 나라들에서는 이 계급이 아직도 신흥 부르주아지와 나란히 자기 존재를 유지하고 있다.


현대 문명이 발전한 나라들에서는 프롤레타리아트와 부르주아지 사이를 왔다갔다하는 새로운 소부르주아지가 형성되었으며, 그들은 부르주아 사회의 보완물로서 끊임없이 새로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경쟁은 이 계급에 속하는 사람들을 계속 프롤레타리아트로 전락시킨다. 그리하여 그들 또한 바로 대공업이 발전함에 따라 자신들이 현대 사회의 독자적인 부분으로서는 완전히 소멸되고 상업, 공업, 농업에서의 감시인과 고용 사무원들로 교체될 때가 닥쳐옴을 알게 된다.


프랑스와 같이 농민 계급이 인구의 절반을 훨씬 넘는 나라들에서는, 부르주아지에 맞서 프롤레타리아트의 편에 선 문필가들이 부르주아 체제를 비판할 때 소부르주아·소농민적 기준을 갖다 붙이거나 소부르주아의 관점에서 노동자들을 편든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이렇게 해서 소부르주아적 사회주의가 생겨났다. 시스몽디[1]는 프랑스에서 뿐만 아니라 영국에서도 이러한 문헌의 우두머리다.


이 사회주의는 현대적 생산 관계의 모순을 아주 날카롭게 분석해냈다. 이 사회주의는 경제학자들의 위선적인 변명을 폭로했다. 그것은 기계에 의한 생산과 분업이 미치는 파괴적 작용, 자본과 토지 소유의 집중, 과잉 생산, 공황, 소부르주아와 소농민의 필연적 멸망, 프롤레타리아트의 빈곤, 생산의 무정부성, 부의 분배에서 나타나는 엄청난 불평등, 국가간의 처절한 산업 전쟁, 낡은 도덕, 낡은 가족 관계와 낡은 민족성의 와해를 반박할 여지 없이 증명했다.


그러나 그 적극적 내용을 살펴보면, 이 사회주의는 낡은 생산 수단과 교환 수단 및 낡은 소유 관계와 낡은 사회를 부흥하려 하거나 또는 현대의 생산 수단과 교환 수단들을 낡은 소유 관계의 틀 속에, 즉 현대의 생산 수단과 교환 수단에 의해 이미 파괴되었으며 또 파괴될 수밖에 없었던 낡은 소유 관계의 틀 속에 또다시 억지로 밀어 넣으려한다. 이 두 가지 가운데 어느 경우이든 그것은 반동적이며 또 공상적이다.


동업 조합 형태의 매뉴팩처와 가부장적인 농업, 이것이 이 사회주의의 마지막 약속이다.


이러한 노선이 좀더 발전하게 되자 그것은 결국 비겁한 푸념에 빠지고 말았다[2].


  1. 역자의 주 -- Jean Charles Sismonde de Sismondi(1773~1842년) 스위스의 경제학자, 역사가. '소부르주아적인 입장에서 자본주의를'(레닌) 비판했으며 소생산을 이상형으로 제시했다.
  2. 편집자의 주 -- 1888년판에는 이 문장이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결국 어쩔 수 없는 역사적 사실들에 의해 자기 기만의 황홀함이 모두 깨지고 나자, 이러한 형태의 사회주의는 가련한 푸념으로 변질되어 버렸다."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