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가치

좌파도서관
백두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4월 18일 (월) 02:33 판

사용가치(Gebrauchswert, Use value, 使用價值)는 사물이나 생산물에 내재하는, 특정한 효용을 이끌어내는 성질이다.

효용

효용은 주관적인 것이며, 사용가치의 소비 결과로 생성되는 심리적 효과이다. 반면, 사용가치는 사물이나 생산물에 내재한 객관적 성질이다.

개요

사용가치는 그것의 내재가 물체적 사물에 국한되지 않으며, 비물체적 사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가령, 교육자의 훈육이나 가르침으로서의 사용가치, TV에서 생중계되는 스포츠 선수의 경기 활동으로서의 사용가치는 물체적 실체로서 사물이 아니지만, 분명히 사용가치를 갖는다.

사용가치는 구체적 유용 노동을 통해 창출된다. 어떠한 생산물이 교환되기 위해선 그것이 사용가치를 갖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교환가치는 사용가치를 필요조건으로 갖는다.

연구

사용가치는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상품 고찰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주제로, 많은 혼란과 오해를 양산해내고 있다. 일부 교재에 따르면, 사용가치는 효용과 같은 개념으로 간주되기도 하며, 그 반대의 예도 존재한다. 한편, 사용가치의 대립물은 가치이기도 하며, 교환가치이기도 한데, 이는 본질과 형식의 영역에서, 사용가치가 갖는 이중적 성격을 드러낸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용가치는 가치에 의해 가상되어 존재하며, 가치법칙이 전면적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다양한 연구 주제를 시사하게 된다. 자본가의 생산 동기는 사용가치가 아니라 잉여가치인데, 자본가가 잉여가치를 생산하고 그것을 실현할 경우, 자본가에게는 심리적 효용이 발생할 것이다. 그렇다면, 모든 잉여가치 증식을 위한 활동 역시 사용가치를 갖는다는 성격이 동시에 생겨난다. 일반적으로 부기노동, 상업노동은 사용가치를 만들어내지는 않지만, 그것은 잉여가치를 유통과정에서 실현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자본가에게는 그것의 작용이 곧 사용가치의 소비이다. 마르크스는 여기서 사물의 사용가치, 생산물의 사용가치, 상품의 사용가치, 노동력 사용가치, 형태적 사용가치(화폐에 대한 사용가치) 등을 구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