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지

좌파도서관
Study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1월 5일 (토) 23:31 판

개요

생애

사범대학을 나와 교사를 꿈꿨던 그는 학원 강사를 하면서 89통의 이력서를 쓴 뒤에야 서울의 한 중학교 교사가 됐다. 하지만 정규직 교사가 아닌 기간제 교사였다. 계약한 지 6개월 만에 임신을 했다는 이유로 해고 통보를 받았다. 계약기간은 1년이었지만 기간제 교사였던 그는 이 기간을 채울 수 없었다.

정규직 여교사들은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 ‘모성애를 누릴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지만 기간제 교사들이 이런 권리를 누리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임신한 기간제 교사가 고민한 것은 오로지 ‘어떻게 해야 퇴사를 피할 수 있을까’ 뿐이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있지만 그의 해고를 막지 못했다. 박 부대표는 당시 전교조도 전체 교사 중 15%에 해당하는 기간제 교사에게 손을 내밀지 않았다고 한 인터뷰에서 밝힌바 있다. 전교조 교사가 돼서 참교육을 실천하고, 조합의 일원으로 운동도 하고 싶었던 박은지는 교사의 꿈을 접고 그렇게 학교를 나왔다.

그는 생활을 위해 다시 학원 강사를 시작했다. 아이가 생겼으니 다른 곳으로 눈 돌릴 여유도 없었다. 학원 강사를 하며 돈도 제법 모았지만, 마흔이 넘어서까지 학원 강사를 하고 싶지는 않았다.

그는 진보정당에 희망을 걸고 2008년 진보신당 공채에 지원해 정치에 입문했다, 이후 18대 총선 동작을 김종철 후보 수행비서, 언론국장, 대변인을 거쳐 19대 총선에서 진보신당 비례대표 후보로 활동했다.

그의 한 지인은 블로그에서 “박 부대표가 진보신당 대변인 시절 전 국민에게 대출을 권하는 ‘김미영 팀장’ 수준으로 기자들에게 문자 폭탄을 돌렸다”고 전했다. 진보신당이란 이름이 단 한번이라도 언론에 더 언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가 택한 전략이었다.

2013년 2월에는 노동당 부대표로 당선돼 대변인까지 겸직했다.

2014년 1월 17일, 대변인에 사임하며 "노동당에게는 기자님 한 명의 조그마한 관심이 절실하다. 비록 지금은 작은 원외정당이지만 노동당이 갖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믿고 작은 관심이라도 기울여주시기 바란다."라는 말을 남겼다.[1]

2014년 3월 8일 우울증 등의 이유로 스스로 세상을 떠났다.

박 부대표의 영결식은 2014년 3월 10일 오전 서울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치러졌다. 이용길은 이날 추도사에서 “죄송합니다. 우리가 그대를 아프게 했습니다. 우리가 그대에게 고통의 짐을 함께 짊어지도록 요구했습니다. 동지는 기꺼이 그 짐을 함께 짊어졌고, 늘 웃는 얼굴로 오히려 주위 동지들을 챙겼습니다. 그 웃음 뒤에서 동지가 어떤 아픔을 인내해야 했는지, 그 아픔의 깊이가 어떠했는지 우리는 미처 가늠하지 못했습니다”라고 안타까워했다.[2]

선거 이력

둘러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