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즉 사회주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회주의 혁명이 필요하고 사회주의 혁명은 반드시 프롤레타리아 독재로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노동계급은 부르주아지를 수탈(expropriate)하기 위하여 정권을 자기 수중에 장악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을 실현하자면 노동계급의 조직화, 단결과 통일이 필요하며 노동계급의 강한 조직체들을 창건하고 그것을 부단히 발전시켜야만 한다.
노동계급의 조직체들은 어떠한 형태를 가져야 하는가?
가장 일반적인 대중적 조직체는 노동조합과 노동자 협동조합(주로 생산협동조합과 소비협동조합)이다. 노동조합의 목적은 현대 자본주의의 범위 내에서 노동자들의 처지를 개선하기 위하여 (주로) 산업자본과 투쟁하는 데 있다. 협동조합의 목적도 두말할 것 없이 같은 현대 자본주의의 범위 내에서 필수품 가격을 내리는 방법을 통해 노동자들의 소비증진을 보장하기 위하여 (주로) 상업자본과 투쟁하는 데 있다. 노동조합이나 협동조합은 물론 다 같이 노동자 대중을 조직하는 수단으로서 노동계급에게 절대로 필요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맑스와 엥겔스의 프롤레타리아 사회주의의 관점에서 볼 때 노동계급은 반드시 이 두 형태의 조직체를 틀어쥐어야 하며, 물론 현재의 정치적 조건이 허락하는 한에 있어서 이 조직체를 견고하게 강화하여야 한다.
그러나 단지 노동조합과 협동조합만으로는 투쟁하는 노동계급의 조직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상술한 조직체들은 자본주의의 범위 내에서 노동자들의 처지를 개선할 목표를 내세우고 있는 것만큼 그것들은 자본주의의 범위를 벗어날 수 없다. 그런데 노동자들은 자본주의적 노예생활에서 완전히 벗어나려고 하며, 자본주의의 테두리 내에서 맴돌려고만 하지 않고 이 테두리 자체를 때려 부수려고 한다. 그러므로 각종 직업에 종사하는 계급의식 있는 노동자들을 자기 주위에 결집시키며 노동계급을 의식적 계급으로 만들고 자본주의 제도의 분쇄와 사회주의 혁명의 준비를 자기의 가장 주되는 목적으로 내세울 그러한 조직체가 또한 필요하다.
이러한 조직체가 곧 노동계급의 사회민주당이다.
이 당은 다른 당들에서 완전히 독립적인 계급적 정당으로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 당은 오직 자기 자신의 손에 의해서만 자기를 해방할 수 있는 노동계급의 당이기 때문이다.
이 당은 혁명적인 정당으로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노동자들은 혁명적인 방법에 의해서만 즉 사회주의 혁명에 의해서만 해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당은 국제주의적 정당으로 되어야 하며 당의 문은 계급의식이 있는 모든 노동자들에게 열려져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노동자들의 해방은 민족적 문제인 것이 아니라 그루지야의 노동자나 러시아의 노동자나 기타 민족의 노동자들에게 동일한 의의가 있는 사회적 문제이기 때문이다.
여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민족의 노동자가 더욱 굳게 결속될수록, 그들 간의 민족적 장벽이 더욱 철저히 파괴될수록 노동계급의 당은 더욱 강대하여질 것이며 노동계급은 더욱 쉽게 하나의 불가분의 계급으로 조직될 것이다.
그러므로 노동계급의 조직체들에서는 그것이 당이건, 노동조합이건, 협동조합이건 할 것 없이 연방주의적 산만성(散漫性)에 대립하여 중앙집권제 원칙을 최대한으로 도입하여야 한다.
또한 명백한 것은 이 모든 조직들이 민주주의적 원칙에 기초해야 한다는 것인데 물론 이것은 그 어떤 정치적 조건이나 기타 조건의 지장을 받지 않는 경우에 한하는 것이다.
당을 한편으로 하고 협동조합과 노동조합을 다른 한편으로 하는 이 둘 간의 상호관계는 어떠해야 하는가? 협동조합과 노동조합은 당적인 것으로 되어야 하는가? 혹은 비당적인 것으로 되어야 하는가? 이 문제의 해결은 노동계급이 어디서, 어떤 조건하에서 투쟁하게 되는가 하는 데 달려 있다. 그러나 어쨌든 노동조합과 협동조합이 노동계급의 사회주의적 정당과 긴밀한 관계에 있으면 있을수록 더 충분히 발전하게 되리라는 것은 의심할 바 없다. 만일 이 두 개의 경제적 조직체들이 강력한 사회주의적 정당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지 않는다면 그들은 대개 편협하게(petty) 되고 협소한 직업적 이해 때문에 전체 계급의 이해를 잊어버리게 되며 따라서 노동계급에게 큰 해를 준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경우에 있어서나 반드시 노동조합과 협동조합에 대한 당의 사상ㆍ정치적(ideological and political) 영향이 보장되어야 한다. 오직 이렇게 된 때에만 상술한 조직체들은 개별적인 집단으로 분산되어 있는 노동계급을 의식적인 계급으로 조직하는 사회주의의 학교로 될 것이다.
이상이 맑스와 엥겔스의 프롤레타리아 사회주의의 대략적인 특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