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순항쟁: 두 판 사이의 차이

좌파도서관
(새 문서: == 개요 == 1948년 10월 16일 대한민국 국군 제14연대 소속 군인들이 제주 4.3 항쟁 진압을 위한 출동을 거부하며 일으킨 봉기에 지방 좌익과 주민들이 합세하며 벌어진 항쟁. == 배경 == == 전개 == === 여수 14연대의 봉기 === === 봉기의 확산 === === 여수인민위원회의 활동 === === 정부의 인식과 대응 === === 진압 작전 === == 학살 == === 협력자 색출과 학살 === === 공산...)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틀:여순항쟁}}
== 개요 ==
== 개요 ==
1948년 10월 16일 [[대한민국 국군]] 제14연대 소속 군인들이 [[제주 4.3 항쟁]] 진압을 위한 출동을 거부하며 일으킨 봉기에 지방 좌익과 주민들이 합세하며 벌어진 항쟁.
1948년 10월 16일 [[대한민국 국군]] 제14연대 소속 군인들이 [[제주 4.3 항쟁]] 진압을 위한 출동을 거부하며 일으킨 봉기에 지방 좌익과 주민들이 합세하며 벌어진 항쟁.

2024년 5월 27일 (월) 03:17 판

여순항쟁
여순항쟁
배경 순천 군경 충돌 사건 · 영암 군경 충돌 사건
구례 군경 충돌 사건 · 5.10 총선거
대한민국 정부 수립 · 제주 4.3 항쟁
전개 봉기 14연대 봉기 · 제주토벌출동거부병사위원회
애국 인민에게 호소함 · 여수 인민대회
여수 인민위원회 재건 · 여수인민보
진압 학구 전투 · 순천 전투 · 인구부 전투 · 여수 전투
인물 진압군 송호성 · 백선엽 · 김점곤 · 김종원
14연대 지창수 · 김지회 · 홍순석 · 이기종
인민위원회 이용기 · 유목윤
시민 정기덕 · 송욱 · 박찬길 · 김계유 · 황두연
기타 칼 마이던스 · 박정희
예술가 박금만 · 강종열 · 조정래 · 양영제 · 백시종
연구자 김득중 · 주철희 · 이영일
문화 음악 여수야화 · 여수블루스 · 산동애가
문학 태백산맥 · 잊을 수 없는 과거 · 여수역
탄압이면 항쟁이다 · 여수의 눈물 · 공마당
영화 성벽을 뚫고 · 태백산맥 · 애기섬 · 동백
기타 여순항쟁 창작가요제 · 여순 10.19 문학상
관련 사건 혁명의용군 사건 · 빨치산 · 숙군
국가보안법 제정 · 학도호국단 창설
국민보도연맹 결성 · 유숙계 실시
관련 용어 빨갱이 · 손가락총
관련 장소 여순항쟁 유적지 · 여순사건 기념관
여순 10.19 항쟁 역사관
관련 단체 여순항쟁유족회 · 여수지역사회연구소
순천대학교 여순연구소
관련 법령 여수ㆍ순천 10ㆍ19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관련 서적 '빨갱이'의 탄생 · 다시 쓰는 여순사건보고서
불량 국민들 · 동포의 학살을 거부한다
여순사건자료집 · 여순사건 공동수업자료집
우린 너무 몰랐다 · 주철희의 여순항쟁 답사기
시민과 함께 읽는 여순사건 · 여순10·19 증언집

개요

1948년 10월 16일 대한민국 국군 제14연대 소속 군인들이 제주 4.3 항쟁 진압을 위한 출동을 거부하며 일으킨 봉기에 지방 좌익과 주민들이 합세하며 벌어진 항쟁.

배경

전개

여수 14연대의 봉기

봉기의 확산

여수인민위원회의 활동

정부의 인식과 대응

진압 작전

학살

협력자 색출과 학살

공산주의자로 명명하기

즉결처분과 재판 및 처형

학살의 책임자들

증언

반공 국가의 건설

빨갱이의 탄생

반공 체제의 형성

반공 국민의 탄생

반공 텍스트의 재생산

왜곡과 반박

항쟁 이후

명칭의 변화

특별법 제정

희생자 인정과 위령사업

향후의 과제

문화

문학

소설

음악

미술

영상

영화

드라마

기타

학계

여담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