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두 판 사이의 차이

좌파도서관
백두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백두 (토론 | 기여)
8번째 줄: 8번째 줄:
2세기 말 한나라가 붕괴하는 과정에서 유가는 그 공식적인 영역에서 그 지배력을 일정 상실하고, 그 자리는 불교로 대체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가는 당대 중국 사회에서 사회 규범 및 인간 관계에 관하여는 매우 강력한 규정력을 발휘하였다.
2세기 말 한나라가 붕괴하는 과정에서 유가는 그 공식적인 영역에서 그 지배력을 일정 상실하고, 그 자리는 불교로 대체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가는 당대 중국 사회에서 사회 규범 및 인간 관계에 관하여는 매우 강력한 규정력을 발휘하였다.


8세기 말 당나라의 한유(韓愈)는 배불론(排佛論)을 내세우면서 유가의 복귀를 주장하였다. 송나라에 이르러 주돈이(周敦頤), 정호(程顥), 정이(程頤) 등에 의해 관념론적 일원주의로서 신유가(新儒家)가 흥성하게 되었다.<ref name="yugyo"/> 신유가는 고대 유가의 부정의 부정으로서, 치밀한 사유 체계와 높은 수준의 형이상학적 교리로 복귀한 것이다.
8세기 말 당나라의 한유(韓愈)는 배불론(排佛論)을 내세우면서 유가의 복귀를 주장하였다. 송나라에 이르러 주돈이(周敦頤), 정호(程顥), 정이(程頤) 등에 의해 관념론적 일원주의로서 신유가(新儒家)가 흥성하게 되었다.<ref name="yugyo"/> 신유가는 고대 유가의 부정의 부정으로, 고대 유가가 치밀한 사유 체계와 높은 수준의 형이상학적 교리를 갖추고 풍부하게 복귀한 것이었다.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2022년 6월 20일 (월) 16:11 판

유가(한자: 儒家, 영어: Confucianism)는 중국 춘추시대 말 노나라의 정치인이자 철학자인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봉건적 이데올로기이다. 유교(儒敎) 또는 유학(儒學)이라고도 불린다.

개요

공자의 학설은 주나라의 전통적인 생산양식이 붕괴하는 과정에서 하급 귀족의 이데올로기로 생성되었다. 공자는 인간의 사회적 지위와 기능은 오직 인간의 윤리적 품성으로부터 도출되어야 한다는 공상적 이념을 전개하였다. 그의 학설에서는 타인과의 ‘올바른 관계’, 당대의 가부장적 질서에 대한 복종 및 그러한 낙후성에서 강조되는 제 권리와 의무에 대한 적합한 관습 등이 강조되었다.[1]

기원전 3세기 중원 대륙에 진나라가 통일을 이루고, 얼마 안 가 유방(劉邦)이 중앙집권적 통일 국가인 한나라가 건립되었을 때 유가는 봉건국가의 공적 영역에서 지대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유가는 법가적 요소를 일정 받아들이게 되었다. 동중서(董仲舒)는 이러한 작업의 주도자였으며, 명실공히 객관적 관념론으로서, 그 시대 중국에서 지배적인 이데올로기가 되었다.[1]

2세기 말 한나라가 붕괴하는 과정에서 유가는 그 공식적인 영역에서 그 지배력을 일정 상실하고, 그 자리는 불교로 대체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가는 당대 중국 사회에서 사회 규범 및 인간 관계에 관하여는 매우 강력한 규정력을 발휘하였다.

8세기 말 당나라의 한유(韓愈)는 배불론(排佛論)을 내세우면서 유가의 복귀를 주장하였다. 송나라에 이르러 주돈이(周敦頤), 정호(程顥), 정이(程頤) 등에 의해 관념론적 일원주의로서 신유가(新儒家)가 흥성하게 되었다.[1] 신유가는 고대 유가의 부정의 부정으로, 고대 유가가 치밀한 사유 체계와 높은 수준의 형이상학적 교리를 갖추고 풍부하게 복귀한 것이었다.

참고 문헌

  • 북경대학철학과연구실 저, 박원재 역 (1994), 《중국철학사》, 제1권, 자작아카데미.
  • 한국 철학사상연구회 편 (1989), 《철학대사전》, 동녘.

각주

  1. 1.0 1.1 1.2 《철학대사전》, 동녘, p. 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