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당(대한민국): 두 판 사이의 차이

좌파도서관
노동당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Karl (토론 | 기여)
노동당에 대한 넘겨주기를 제거함
태그: 넘겨주기 제거
1번째 줄: 1번째 줄:
#넘겨주기 [[노동당]]
{{틀:기획/세계의 진보정당}}
 
{{전후
|제목 배경색 = #EE7700
|제목 글씨색 = #FFFFFF
|배경색 = #FF0000
|글씨색 = #FFFFFF
|분류 =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입력 = 신
|이전 = [[진보신당]]연대회의<br>[[사회당]]<br>[[사회변혁노동자당]]<small>(2022년 2월 5일)</small>
|현재문서 = [[파일:노동당.png|50px]]<br>노동당
|이후 = [[단일한사회주의대중정당]]<small>(2022년)</small><br>[[평등사회네트워크|진보결집+]]<small>(2015년)</small><br>[[기본소득당]]<small>(2020년)</small>
}}
{{정당
|배경색 = #FF0000
|글씨색 = #FFFFFF
|이름 = 노동당
|다른 이름 = The Labour Party
|사진 = Korean Labor Party logo.svg
|슬로건 = 평등 생태 평화
|약칭 = lp
|당가 = 대지와 미래를 품고
|창당일 = 2013년 7월 21일
|창당배경 = 진보신당연대회의로부터 창당
|해산일 = 2022년 6월(예정)
|해산사유 = 단일한사회주의대중정당 창당
|정치스펙트럼 = 좌파
|이념 = 사회주의
|의회1 = 국회
|의회1 내 비율 = 0
|의회1 내 현재의석 = 0
|의회1 총의석 = 300
|의회2 = 광역단체장
|의회2 내 비율 = 0
|의회2 총의석 = 17
|의회2 내 현재의석 = 0
|의회3 = 기초단체장
|의회3 내 비율 = 0
|의회3 총의석 = 226
|의회3 내 현재의석 = 0
|의회4 = 광역의원
|의회4 내 비율 = 0
|의회4 총의석 = 824
|의회4 내 현재의석 = 0
|의회5 = 기초의원
|의회5 내 비율 = 0
|의회5 총의석 = 2927
|의회5 내 현재의석 = 0
}}
 
==개요==
평등, 생태, 평화 공화국을 추구하는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정당.
 
==창당==
[[진보신당]]이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된 19대 총선 결과,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에서 의석 획득에 실패하는 한편, 정당득표에서도 등록 취소 요건 2% 미만인 1.13%를 얻어 등록이 취소되자 2012년 10월 22일 진보신당 연대회의라는 창당준비위원회를 거쳐 [[사회당(대한민국)]]과 함께 2013년 7월 21일 노동당이라는 이름으로 재창당하였다.
 
==역사==
2014년에는 [[박은지]] 전 부대표가 우울증으로 자살하는 안타까운 사건사고가 있었다. 지방의회 당선자는 배출하는데 성공했지만, 2015년 [[나경채]] 지도부가 정의당과의 합당을 추진하다 실패하여 [[평등사회네트워크|진보결집+]]가 정의당으로 떨어져 나갔다.
 
2016년 총선에서는 비례대표 0.38%를 득표하며 원내진출에 실패하였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도 의석을 얻는데 실패했다.
 
2019년에도 기본소득당으로 당명개정을 추진한 [[용혜인]] 지도부가 당명 개정이 부결되자 탈당하여 [[기본소득당]]으로 떨어져 나갔다.
 
2020년 총선에서는 비례대표 투표 기준 0.12%의 득표율로 19위의 초라한 성적표를 기록했다.
 
2021년에는 [[노동자민중 사회주의 좌파 공동투쟁본부]]에 참여했다.
 
2022년 2월 5일에는 법외 정당인 [[사회변혁노동자당]]과 통합했으며, 대선에서 [[이백윤]] 후보가 9,176표를 득표했다.
 
==대북관==
진보신당 시절부터 대북관은 같은 진보 정당인 민주노동당과 크게 엇갈렸다. 진보신당과 민주노동당 모두 평화통일을 지향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진보신당은 '김씨 왕조'의 독재에 대해서는 상당히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고, 민주노동당의 경우 비교적 친북에 가까운 태도를 보여주었다.
 
노동당 내에서도 사실 대북 정책 지향점은 당원마다 다른 편이라서 일관된 대북관은 없다.
 
사실 민주노동당 시절에는 PD쪽이나, 당시 사회당(현 노동당이 합병함)쪽 사람들은 6.15 남북공동성명이나 햇볕정책까지 부정할정도로 대북관이 강경한 사람들도 꽤 있었다.
 
그러나, 현재의 노동당의 이념 중에 평화주의가 있으며 2000년대와 달리 현재 PD와 NL간의 관계가 다소 호전되었기 때문에 대북관이 보수나 수구 수준으로 강경하지는 않다.
 
==지도부==
===1~3기 지도부===
[[진보신당 #지도부|진보신당 지도부]] 참조.
===4기 지도부===
'''공동대표:''' [[홍세화]], [[안효상]](총선 전 합당한 사회당의 대표)
 
'''부대표:''' 김선아, 심재옥, 강상구, [[김종철]]
 
===5기 지도부===
'''대표:''' [[이용길]]
 
'''부대표:''' [[박은지]], 이봉우, 정진우, 장석준
 
===6기 지도부===
'''대표:''' [[나경채]]
 
'''부대표:''' 권태훈, 문미정, 김윤희
 
===7기 지도부===
7기 지도부는 나경채 지도부 탈당후에 비대위를 거친후 구성되었다.
 
'''대표:''' [[구교현]]
 
'''부대표:''' 김한울, 안혜린, 이해림, 최승현
 
===8기 지도부===
'''대표:''' [[이갑용]]
 
'''부대표:''' 이경자, 임석영
===9기 지도부===
'''대표:''' [[용혜인]], [[신지혜]]
 
'''부대표:''' 서태영, 신민주
 
===10기 지도부===
10기 지도부는 용혜인 지도부 탈당 후에 비대위를 거친후 구성되었다.
 
'''대표:''' [[현린]]
 
'''부대표:''' 송미량, [[나도원]]
 
===11기 지도부===
'''대표:''' [[나도원]], [[이종회]](합당한 사회변혁노동자당의 대표)
 
'''부대표:''' [[송미량]]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진보정당]] [[분류:세계의 진보정당]]

2022년 4월 3일 (일) 12:11 판

틀:기획/세계의 진보정당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전 신
진보신당연대회의
사회당
사회변혁노동자당(2022년 2월 5일)

노동당
후 신
단일한사회주의대중정당(2022년)
진보결집+(2015년)
기본소득당(2020년)
노동당
The Labour Party
평등 생태 평화
정당정보
정당정보
약칭 lp
당가 대지와 미래를 품고
창당
창당
2013년 7월 21일

진보신당연대회의로부터 창당
해산
해산
2022년 6월(예정)

단일한사회주의대중정당 창당
이념
이념
좌파

사회주의
의석
의석
국회 0석 / 300석 (0%)
광역단체장 0석 / 17석 (0%)
기초단체장 0석 / 226석 (0%)
광역의원 0석 / 824석 (0%)
기초의원 0석 / 2927석 (0%)

개요

평등, 생태, 평화 공화국을 추구하는 대한민국사회주의 정당.

창당

진보신당이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된 19대 총선 결과,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에서 의석 획득에 실패하는 한편, 정당득표에서도 등록 취소 요건 2% 미만인 1.13%를 얻어 등록이 취소되자 2012년 10월 22일 진보신당 연대회의라는 창당준비위원회를 거쳐 사회당(대한민국)과 함께 2013년 7월 21일 노동당이라는 이름으로 재창당하였다.

역사

2014년에는 박은지 전 부대표가 우울증으로 자살하는 안타까운 사건사고가 있었다. 지방의회 당선자는 배출하는데 성공했지만, 2015년 나경채 지도부가 정의당과의 합당을 추진하다 실패하여 진보결집+가 정의당으로 떨어져 나갔다.

2016년 총선에서는 비례대표 0.38%를 득표하며 원내진출에 실패하였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도 의석을 얻는데 실패했다.

2019년에도 기본소득당으로 당명개정을 추진한 용혜인 지도부가 당명 개정이 부결되자 탈당하여 기본소득당으로 떨어져 나갔다.

2020년 총선에서는 비례대표 투표 기준 0.12%의 득표율로 19위의 초라한 성적표를 기록했다.

2021년에는 노동자민중 사회주의 좌파 공동투쟁본부에 참여했다.

2022년 2월 5일에는 법외 정당인 사회변혁노동자당과 통합했으며, 대선에서 이백윤 후보가 9,176표를 득표했다.

대북관

진보신당 시절부터 대북관은 같은 진보 정당인 민주노동당과 크게 엇갈렸다. 진보신당과 민주노동당 모두 평화통일을 지향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으나 진보신당은 '김씨 왕조'의 독재에 대해서는 상당히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고, 민주노동당의 경우 비교적 친북에 가까운 태도를 보여주었다.

노동당 내에서도 사실 대북 정책 지향점은 당원마다 다른 편이라서 일관된 대북관은 없다.

사실 민주노동당 시절에는 PD쪽이나, 당시 사회당(현 노동당이 합병함)쪽 사람들은 6.15 남북공동성명이나 햇볕정책까지 부정할정도로 대북관이 강경한 사람들도 꽤 있었다.

그러나, 현재의 노동당의 이념 중에 평화주의가 있으며 2000년대와 달리 현재 PD와 NL간의 관계가 다소 호전되었기 때문에 대북관이 보수나 수구 수준으로 강경하지는 않다.

지도부

1~3기 지도부

진보신당 지도부 참조.

4기 지도부

공동대표: 홍세화, 안효상(총선 전 합당한 사회당의 대표)

부대표: 김선아, 심재옥, 강상구, 김종철

5기 지도부

대표: 이용길

부대표: 박은지, 이봉우, 정진우, 장석준

6기 지도부

대표: 나경채

부대표: 권태훈, 문미정, 김윤희

7기 지도부

7기 지도부는 나경채 지도부 탈당후에 비대위를 거친후 구성되었다.

대표: 구교현

부대표: 김한울, 안혜린, 이해림, 최승현

8기 지도부

대표: 이갑용

부대표: 이경자, 임석영

9기 지도부

대표: 용혜인, 신지혜

부대표: 서태영, 신민주

10기 지도부

10기 지도부는 용혜인 지도부 탈당 후에 비대위를 거친후 구성되었다.

대표: 현린

부대표: 송미량, 나도원

11기 지도부

대표: 나도원, 이종회(합당한 사회변혁노동자당의 대표)

부대표: 송미량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