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론: 두 판 사이의 차이

좌파도서관
백두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백두 (토론 | 기여)
21번째 줄: 21번째 줄:
| align="center" |아낙사고라스 || align="center" |객관적 관념론 || align="center" |이성(nous) || align="center" |질료
| align="center" |아낙사고라스 || align="center" |객관적 관념론 || align="center" |이성(nous) || align="center" |질료
|-
|-
| align="center" |소크라테스 || align="center" |객관적 관념론 || align="center" |원상(idea) || align="center" |질료
| align="center" |소크라테스 || align="center" |객관적 관념론 || align="center" |[[이데아|원상(idea)]] || align="center" |질료
|-
|-
| align="center" |플라톤 || align="center" |객관적 관념론 || align="center" |원상(idea) || align="center" |질료
| align="center" |플라톤 || align="center" |객관적 관념론 || align="center" |[[이데아|원상(idea)]] || align="center" |질료
|-
|-
| align="center" |아리스토텔레스 || align="center" |? || align="center" |형식(eidos) || align="center" |질료
| align="center" |아리스토텔레스 || align="center" |? || align="center" |[[이데아#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형식(eidos)]] || align="center" |질료
|-
|-
| align="center" |R. 데카르트 || align="center" |? || align="center" |정신 || align="center" |물질
| align="center" |R. 데카르트 || align="center" |? || align="center" |정신 || align="center" |물질

2022년 4월 23일 (토) 06:16 판

이원론(한자: 二元論, 라틴어: Dualism)은 세계의 통일성, 단일성을 부인하고 그 대신에 이원성을 모든 것의 기본 규정으로 삼고 있는 일군의 사조를 가리킨다. 이원론에서 두 궁극적 실체는 상호간 독립되어 있으며, 교호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1]

개요

dualism’이라는 용어는 C. 볼프가 자신의 저서 《이성의 심리학》(Psychologia rationalis)에서 처음으로 등장한다.[2]

일반적으로 물질과 정신를 모두 궁극적 실체로 간주하고, 둘 사이의 형이상학적 '결합'을 시도한 세계관에서 나타나는 사조로, 다원론(多元論)과 마찬가지로 세계의 통일성을 부정하고, 논리학 서술에서 형이상학적 논변에 기반한다.

V. I. 레닌은 물질과 정신을 터무니없이 절충하여 이원론 사조를 제기하는 게 아닌 이상, 필연적으로 그것은 일원론적 유물론이나, 일원론적 관념론으로 귀결된다고 하였다.[3]

오늘날 모든 이원론은 물질과 정신에 관한 관념론적, 형이상학적 전제를 지니고 전개되고 있다는 점에서, 모든 이원론은 관념론적 세계관이 지니는 특수한 한 형태에 지나지 않는다.

이원론 철학

과거부터 현재까지 존재하는 대표적인 이원론 철학자 및 철학 유파 목록은 다음과 같다:

철학자 또는 철학 유파 철학적 당파성 실체
아낙사고라스 객관적 관념론 이성(nous) 질료
소크라테스 객관적 관념론 원상(idea) 질료
플라톤 객관적 관념론 원상(idea) 질료
아리스토텔레스 형식(eidos) 질료
R. 데카르트 정신 물질
C. 볼프 주관적 관념론 형식논리자 질료
I. 칸트 주관적 관념론 주관에 내재한 관념적 상(象) 물자체

참고 문헌

  • 한국 철학사상연구회 편 (1989), ≪철학대사전≫, 동녘.

같이 보기

각주

  1. 《철학대사전》, pp. 1039-1040.
  2. 위와 같은 문헌, p. 1039.
  3. 위와 같은 문헌, p. 1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