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원론: 두 판 사이의 차이

좌파도서관
22번째 줄: 22번째 줄:
리케르트 역시 인식주관에 의해 관계지어진 ‘이해들’(또는 ‘가치들’)이 문화과학을 정초할 수 있다고 간주하였다. 그의 제자 에밀 라스크(Emil Lask)는 이 견해를 다양한 주관적 관념론과 절충하는 작업을 도맡았다.
리케르트 역시 인식주관에 의해 관계지어진 ‘이해들’(또는 ‘가치들’)이 문화과학을 정초할 수 있다고 간주하였다. 그의 제자 에밀 라스크(Emil Lask)는 이 견해를 다양한 주관적 관념론과 절충하는 작업을 도맡았다.


바덴학파의 다원론은 수많은 주관적 관념론과 절충 과정을 거쳐 방대한 체계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오늘날 ‘가치철학’이라고 불린다.
바덴학파의 다원론은 수많은 주관적 관념론과 절충 과정을 거쳐 방대한 체계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오늘날 ‘가치철학’이라고 불린다.<ref name="Cheol"/>
 
관념론적 다원주의는 현대 사회민주주의 세계관의 근간을 이루는데, 이는 신칸트주의 서남학파와 마르부르크 학파의 일반적 견해를 절충하여 받아들인 개량주의자 E. 베른슈타인의 칸트주의 노선에서 유래하였다.<ref name="Cheol2">《철학대사전》, pp. 757-758.</ref>


‘실용주의’, ‘철학적 인간학’, 인격주의 등 현대제국주의 이데올로기는 오늘날까지 다원론을 전개하여, 세계의 통일성을 부정하고 있다.
‘실용주의’, ‘철학적 인간학’, 인격주의 등 현대제국주의 이데올로기는 오늘날까지 다원론을 전개하여, 세계의 통일성을 부정하고 있다.

2022년 6월 2일 (목) 10:25 판

다원론(한자: 多元論, 독일어: Pluralismus, 라틴어: Pluralistarum)은 세계의 통일성을 부정하고 세계의 다원성 혹은 다수성을 현실의 기본 규정으로 삼는 세계관을 일컫는다.

개요

pluralismus’은 C. 볼프가 그의 저서 《합리적 사상》에서 최초로 사용한 용어이다.[1] 그는 세계의 본질을 다수로 상정하는 모든 철학에 대해 다원론적 세계관이라고 명명하였다.[1]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다원론은 〈네 가지 원소설〉의 주창자인 엠페도클레스에 의해 전개되었다. 그는 세계가 흙, 공기, 물, 불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네 가지 원소를 통틀어 리조마타(rhizomata)라고 칭하였다. 그는 네 가지 원소가 사랑(philia)과 미움(neikos)에 의해 혼합(mixis)되고 분리(diallaxis)됨을 반복하며 존재를 이루고 이것이 세계의 모든 복잡한 현상의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2] 플루타르코스에 의하면, 엠페도클레스는 네 가지 원소의 혼합이 사람의 모습으로, 또는 야생 짐승들의 종족, 또는 식물, 조류의 모습 등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2]

자연발생적 유물론자인 데모크리토스 역시 다원론적 세계관을 부분적으로 지니고 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천체에 관하여》에서 다음과 같이 그가 말하는 실체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였다:

"데모크리토스는 장소를 허공, 아무것도 아닌 것, 한정되지 않은 것이라는 이름들로 부르는 한편, 실체(ousia)들 각각을 어떤 것(to den), 꽉 찬 것(to naston), 있는 것이라고 부른다. [...] 그러나 그것[실체; 인용자]들은 온갖 모양(morphai)과 온갖 형태(schemata) 그리고 크기의 차이를 갖는다고 그는 생각한다."[3]
아리스토텔레스, ≪천체에 관하여≫

데모크리토스는 세계가 물질적 존재인 원소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는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그는 그 원소가 세계를 이루는 가장 최소의 단위라고 간주하면서도, 그것들의 모양, 형태, 크기는 각기 다르다고 간주함으로써 다원론적 세계관을 전개한 바 있다.

그가 유물론적 일원주의자였다면, 물질(그가 원소라고 한)이 기본 규정임을 말하면서도, 동시에 그 기본 규정은 동일성을 확보한 것이며, 그 규정에 대해서 모양이나 형태 등의 이질성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간주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세계를 이루는 가장 최소의 단위로서 실체(그가 원소라고 명명한)를 언급하면서, 이 원소가 모양, 형태, 크기에서 각자 상이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언급하였기에 다원론자로 분류할 수 있다.

데모크리토스의 경우와 유사하게, 레우키포스 또한 다원론자로 분류되기도 한다.

근대 이후 철학에서 다원론은 신칸트주의 서남학파(또는 바덴학파라고도 불리는)[4]에 의해 전개된 바 있다.[5]

바덴학파는 자연과학과 문화과학에는 각자 폐쇄된 체계로서 서로에 대해 무한한 틈을 지니고 있으며, 전자가 후자에 대해, 후자가 전자에 대해 관여할 수 없다고 간주하였다. 이 학파는 이 주장을 다원론을 통해 정당화하였다. 빈델반트는 정신과학의 학문적 체계는 실체개념이 아니라 관계개념에 의거하며, 자연과학적 현상법칙이 아니라 주관에 의한 가치선택에 기반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빈델반트는 그간 전통적으로 논의되던 실체개념을 인식주관이 무한히 구상할 수 있는 무한한 관념적 상(그가 ‘가치’라고 명명한)으로 대체한 것이다. 그는 진정으로 개성이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은 정신과학이라는 영역 뿐이며, 따라서 이 학문 체계를 ‘개성기술적’[6]이라고 하였다.

리케르트 역시 인식주관에 의해 관계지어진 ‘이해들’(또는 ‘가치들’)이 문화과학을 정초할 수 있다고 간주하였다. 그의 제자 에밀 라스크(Emil Lask)는 이 견해를 다양한 주관적 관념론과 절충하는 작업을 도맡았다.

바덴학파의 다원론은 수많은 주관적 관념론과 절충 과정을 거쳐 방대한 체계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오늘날 ‘가치철학’이라고 불린다.[1]

관념론적 다원주의는 현대 사회민주주의 세계관의 근간을 이루는데, 이는 신칸트주의 서남학파와 마르부르크 학파의 일반적 견해를 절충하여 받아들인 개량주의자 E. 베른슈타인의 칸트주의 노선에서 유래하였다.[7]

‘실용주의’, ‘철학적 인간학’, 인격주의 등 현대제국주의 이데올로기는 오늘날까지 다원론을 전개하여, 세계의 통일성을 부정하고 있다.

참고 문헌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저, 전양범 역 (2016), ≪그리스철학자열전≫, 동서문화사.
  • 김인곤 역 (2005),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아카넷.
  • 한국 철학사상연구회 편 (1989), ≪철학대사전≫, 동녘.

같이 보기

각주

  1. 1.0 1.1 1.2 《철학대사전》, p. 248.
  2. 2.0 2.1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p. 351.
  3.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p. 547.
  4. 빌헬름 빈델반트(Wilhelm Windelband), 하인리히 리케르트(Heinrich Rickert), 구스타프 라드브루흐(Gustav Radbruch) 등으로 구성된 신칸트주의 학파로, 19세기 말 칸트의 교의와 기계론, 주관주의 등을 절충하여 관념론적 다원주의를 전개하였다.
  5. 이와 반대로, 신칸트주의 마르부르크 학파는 관념론적 일원주의를 전개하였다.
  6. 그는 심지어 정신과학이 개성기술적이라는 것의 근거로서 ‘일회적(一回的)인 가치에 의한 학문’이라는 주장을 전개하였다. 일회적인 가치란, 인식주관에 의해 관계된 상(象)은 그것이 주관적으로 ‘일관된’ 이해를 가지면 언제든 가치가 될 수 있는 동시에 그것은 언제나 일회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7. 《철학대사전》, pp. 757-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