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원론

좌파도서관
백두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6월 2일 (목) 09:47 판 (새 문서: '''다원론'''({{언어표기|한자|多元論}}, {{언어표기|독일어|Pluralismus}}, {{언어표기|라틴어|Pluralistarum}})은 세계의 통일성을 부정하고 세계의 다원성 혹은 다수성을 현실의 기본 규정으로 삼는 세계관을 일컫는다. == 개요 == ‘''pluralismus''’은 C. 볼프가 그의 저서 《합리적 사상》에서 최초로 사용한 용어이다.<ref name="Cheol">《철학대사전》, p. 248.</ref> 그는 세계의 본질...)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다원론(한자: 多元論, 독일어: Pluralismus, 라틴어: Pluralistarum)은 세계의 통일성을 부정하고 세계의 다원성 혹은 다수성을 현실의 기본 규정으로 삼는 세계관을 일컫는다.

개요

pluralismus’은 C. 볼프가 그의 저서 《합리적 사상》에서 최초로 사용한 용어이다.[1] 그는 세계의 본질을 다수로 상정하는 모든 철학에 대해 다원론적 세계관이라고 명명하였다.[1]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다원론은 〈네 가지 원소설〉의 주창자인 엠페도클레스에 의해 전개되었다. 그는 세계가 흙, 공기, 물, 불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네 가지 원소를 통틀어 리조마타(rhizomata)라고 칭하였다. 그는 네 가지 원소가 사랑(philia)과 미움(neikos)에 의해 혼합(mixis)되고 분리(diallaxis)됨을 반복하며 존재를 이루고 이것이 세계의 모든 복잡한 현상의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2] 플루타르코스에 의하면, 엠페도클레스는 네 가지 원소의 혼합이 사람의 모습으로, 또는 야생 짐승들의 종족, 또는 식물, 조류의 모습 등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2]

자연발생적 유물론자인 데모크리토스 역시 다원론적 세계관을 부분적으로 지니고 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천체에 관하여》에서 다음과 같이 그가 말하는 실체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였다:

"데모크리토스는 장소를 허공, 아무것도 아닌 것, 한정되지 않은 것이라는 이름들로 부르는 한편, 실체(ousia)들 각각을 어떤 것(to den), 꽉 찬 것(to naston), 있는 것이라고 부른다. [...] 그러나 그것[실체; 인용자]들은 온갖 모양(morphai)과 온갖 형태(schemata) 그리고 크기의 차이를 갖는다고 그는 생각한다."[3]
아리스토텔레스, ≪천체에 관하여≫

데모크리토스는 세계가 물질적 존재인 원소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는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그는 그 원소가 세계를 이루는 가장 최소의 단위라고 간주하면서도, 그것들의 모양, 형태, 크기는 각기 다르다고 간주함으로써 다원론적 세계관을 전개한 바 있다.

그가 유물론적 일원주의자였다면, 물질(그가 원소라고 한)이 기본 규정임을 말하면서도, 동시에 그 기본 규정은 동일성을 확보한 것이며, 그 규정에 대해서 모양이나 형태 등의 이질성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간주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세계를 이루는 가장 최소의 단위로서 실체(그가 원소라고 명명한)를 언급하면서, 이 원소가 모양, 형태, 크기에서 각자 상이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언급하였기에 다원론자로 분류할 수 있다.

데모크리토스의 경우와 유사하게, 레우키포스 또한 다원론자로 분류되기도 한다.

참고 문헌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저, 전양범 역 (2016), ≪그리스철학자열전≫, 동서문화사.
  • 김인곤 역 (2005),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아카넷.
  • 한국 철학사상연구회 편 (1989), ≪철학대사전≫, 동녘.

같이 보기

각주

  1. 1.0 1.1 《철학대사전》, p. 248.
  2. 2.0 2.1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p. 351.
  3.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p. 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