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닌주의의 기초/이론(1)

좌파도서관


레닌주의의 기초
III. 이론
1절 ~ 2절

이 주제에서 세 가지 문제를 다루겠다.

ㄱ) 프롤레타리아 운동에서의 이론의 중요성

ㄴ) 자연생장성 “이론”에 대한 비판

ㄷ) 프롤레타리아 혁명론


1) 이론의 중요성


어떤 사람은 레닌주의는 이론보다 실천을 우위에 둔다고 생각한다. 즉 레닌주의의 중요한 의미는 맑스주의 명제를 행동으로 옮기며 그 명제를 “실천”하는 것이라고 한다. 레닌주의가 이론에 무관심하다는 주장이다. 알다시피 쁠레하노프는 레닌이 이론, 특히 철학에 “무관심”하다고 여러 번 조롱한 바 있다. 또 오늘날 레닌주의자인 많은 활동가들이 정세가 요구하는 방대한 실천적 임무 때문에 이론에 그다지 관심을 갖지 못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단언컨대 레닌과 레닌주의가 이론을 무시한다는 괴상한 의견은 완전히 잘못된 것이고 사실과도 전혀 맞지 않다. 또 활동가들이 이론을 무시하려는 경향은 레닌주의의 정신에 전적으로 반하는 것이며 사업을 매우 위태롭게 하는 것이다.


이론이란 모든 나라의 노동운동 경험을 일반화한 것이다. 혁명 실천 없는 이론은 공허하고, 혁명 이론 없는 실천은 맹목적이다. 이론을 혁명적 실천과의 밀접한 연결 위에 세울 때 이론은 노동운동의 거대한 힘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론, 오직 이론을 통해서만 운동을 확신할 수 있으며 방침을 결정할 수 있고 주위 사물의 내적 연관 속에서 운동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론, 오직 이론을 통해서만 오늘날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제 계급이 어떻게 움직이고 어디로 향해 가는지를 깨달아 실천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레닌만큼 다음의 유명한 명제를 셀 수 없이 말하고 되풀이한 사람은 없을 것이다.


혁명 이론 없이는 혁명 운동도 있을 수 없다.[1](≪레닌 저작집≫ 제4권, p. 390을 보라.)[2])


레닌은 누구보다도 이론의 막중한 의의를 잘 알고 있었다. 우리 당이 수행하게 된 국제 노동계급의 전위투사의 역할에 비추어 볼 때, 또 우리 당을 둘러싼 국내외 정세의 복잡성에 비추어 볼 때 이론은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레닌은 일찍이 1902년에 우리 당의 이 특수한 역할을 예견하고 다음과 같은 것을 지적할 필요를 절감했다.


가장 선진적인 이론에 의해 지도되는 당만이 전위투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레닌 저작집≫ 제4권, p. 380을 보라.)[3]


우리 당의 역할에 대한 레닌의 예언이 이미 실현된 지금, 별도의 증명은 필요 없이 레닌의 이 명제는 각별한 힘과 중요성을 갖는다.


레닌이 이론에 부여한 커다란 중요성을 가장 명백히 보여주는 것은 다음과 같은 사실에 있다. 오직 레닌만이 엥겔스로부터 레닌에 이르는 시기에 이룩한 가장 중요한 과학적 성과를 유물론 철학에 기초하여 일반화하고 맑스주의자들 내부의 반유물론적 조류들을 전면적으로 비판하는 막중한 임무를 수행하였다. 엥겔스는 “자연과학 영역에서 획기적인 발견이 있을 때마다 유물론은 그 형태를 바꾸어야만 한다”[4]고 말하였다.


모두 알다시피 바로 레닌이 이러한 시대적 과업을 ≪유물론과 경험비판론≫이라는 걸작을 통해 수행하였다. 그리고 철학에 “무관심”하다고 레닌을 조롱하곤 했던 플레하노프는 그러한 과업을 진지하게 책임지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았다.


2) 자연생장성 “이론”에 대한 비판, 또는 운동에서의 전위의 역할


자생성 “이론”은 기회주의 이론이다. 노동운동에 있어 자생성을 숭배하는 이론이다. 노동계급의 전위, 즉 노동계급당의 지도적 역할을 사실상 부정하는 이론이다.


자생성을 숭배하는 이론은 노동운동의 혁명적 성격에 매우 적대적이며 자본주의의 토대에 대항하는 투쟁노선에 반대한다. 단지 자본주의에서 “실현될 수 있고” “용납될 수 있는” 요구들만 제기하는 운동을 선호한다. “최소 저항선”을 전적으로 찬성하는 것이다. 즉 자생성 이론은 노동조합주의 사상이다.


자생성을 숭배하는 이론은 자생적 운동에 의식적, 계획적 성격을 부여하는 것을 단호히 반대한다. 당이 노동계급의 선두에 서서 나가는 것을 반대한다. 당이 대중을 의식적 계급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반대한다. 운동에 있어 당의 지도를 반대하는 것이다. 자생성 이론은 운동이 스스로 가는 길을 방해하지 않는 정치의식만은 찬성한다. 당이 자생적 운동에 순응하여 뒤꽁무니만 따라다닐 것을 주장하는 것이다. 자생성 이론은 운동에서 의식적 요소의 역할을 무시하는 이론이며 “추수주의” 사상이며 온갖 기회주의의 논리적 기반이다.


자생성 이론은 러시아 1차 혁명 이전에 이미 무대에 나타났다. 이 이론의 추종자들인 소위 “경제주의자”들은 러시아에서 독자적인 노동자 정당의 필요성을 부정하며 짜르 제도를 전복하기 위한 노동계급의 혁명적 투쟁을 반대하였다. 운동에서 노동조합주의 정책을 설교하며 노동운동을 자유주의적 부르주아지의 헤게모니에 완전히 내맡겼다.


레닌은 구“이스크라”의 투쟁을 통해 그리고 ≪무엇을 할 것인가?≫에서 행한 “추수주의”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통해 “경제주의”를 격파하고 러시아 노동계급의 참다운 혁명운동에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레닌의 이런 투쟁이 없었다면 러시아에서 독자적인 노동자 정당의 창건이나 혁명에서 당의 지도적 역할은 생각조차 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자생성을 숭배하는 이론은 러시아만의 현상은 아니다. 제2 인터내셔널의 모든 정당에 형태를 조금씩 달리하여 예외 없이 펴져 있다. 제2 인터내셔널 지도자들이 소위 “생산력” 이론을 비속화한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이들은 모든 것을 옳다고 하고 모든 사람들을 온순하게 길들인다. 어떤 사실에 대해 사람들이 진저리가 나 지친 이후에나 그 사실 정황을 확인하고 설명한다. 그것도 사실을 확인만 하고는 만사대길이다. 맑스는 “유물론은 세계를 설명하는 데 그칠 수 없으며 세계를 변혁시켜야 한다”[5]고 말했다. 그러나 카우츠키 일파는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맑스의 정식화 첫 부분에 머문 채 만족한다.


이 생산력 “이론”을 적용한 숱한 예 가운데 하나를 들어보자. 제국주의 전쟁 전에 제2 인터내셔널의 정당들은 만일 제국주의자들이 전쟁을 일으킨다면 “전쟁에는 전쟁으로”를 선언하겠다고 으른 적이 있다. 그런데 전쟁 바로 직전에 “전쟁에는 전쟁으로”라는 슬로건을 걷어치우고 “제국주의 조국을 위한 전쟁”이라는 정반대의 슬로건을 내세웠다. 이와 같이 슬로건을 바꾼 결과 수백만 노동자가 죽어 나갔다. 그러나 카우츠키 일파는 이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사람들이 있다거나 누군가 노동계급에 충실하지 못했다거나 노동계급을 배반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한다. 결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모든 것은 다 당연히 일어날 대로 일어났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첫째, 인터내셔널은 전쟁의 도구가 아니라 “평화의 도구”이기 때문이고 둘째, 당시의 “생산력 수준”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란다. “비난받아야 할 것”은 “생산력”인 것이다. 이것이 카우츠키 선생이 “우리에게” 내려주신 “생산력 이론”의 정확한 의미이다. 누구든지 이 “이론”을 믿지 않는다면 맑스주의자가 아니다. 당의 역할이라고? 운동에서 당의 중요성이라고? 그러나 “생산력 수준”과 같은 결정적 요인 앞에서 당이 무엇을 할 수 있단 말인가? …


맑스주의를 이런 식으로 왜곡한 사례는 무수히 들 수 있을 것이다.


이 사이비 맑스주의는 자신의 기회주의적 진면목을 숨기려고 애쓴다. 그러나 이 사이비 맑스주의는 레닌이 이미 제1차 러시아 혁명 이전에 반대하여 투쟁했던 “추수주의” 이론의 유럽식 변종에 불과하다는 것을 애써 증명할 필요는 없다.


당연히 이러한 이론적 왜곡을 타파하는 것이 서구에서 진정한 혁명적 당을 창건하는 선결 조건이 된다.


  1. 강조추가 -- 필자의 주
  2. V. I. 레닌, ≪무엇을 할 것인가≫(≪레닌 저작선≫), 홍승기 편역, 거름, p. 145.
  3. 같은 책, p. 146.
  4. F. 엥겔스, ≪루드비히 포이에르바하 그리고 독일고전철학의 종말≫(≪맑스 엥겔스 저작선집≫ 제6권), 박종철출판사, p. 258.
  5. K. 맑스, “포이에프바하에 관한 테제”, ≪독일 이데올로기 1≫, 김대웅 역, 두레, p. 4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