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사회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좌파도서관
잔글편집 요약 없음
Karl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국내에서는 [[진보신당]]에서 논의된 바 있으며, 진보신당의 후신인 [[노동당]]은 이를 공식적으로 내걸고 있다.
국내에서는 [[진보신당]]에서 논의된 바 있으며, 진보신당의 후신인 [[노동당]]은 이를 공식적으로 내걸고 있다.


==각주==
[[분류:사상]] [[분류:사회주의]]
[[분류:사상]] [[분류:사회주의]]

2022년 11월 1일 (화) 05:05 판

제임스 오코너에 따르면, 생태학적 마르크스주의 또는 생태사회주의(영어: Ecological Marxism; Ecosocialism)란, 사회적 필요에 따른, 그리고 환경 보전이 요구하는 바에 따른 생산을 조직함으로써 교환가치사용가치에 종속시키고자 하는 이론과 운동의 조류를 말한다. 이들은 자본주의와 '관료제적 형태로 변질된 사회주의'에서는 자연이 상품화되고, 자연 파괴적 소비가 무한히 확장하며, 이에 동반되는 생태적 위기가 자본 축적에 장애를 일으키며 생태계를 복원 불가능하게 파괴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생태학적으로 합리적인 사회"를 지향하며, 사용가치의 중시와 민주주의적 통제, 사회적 평등을 강조한다.[1][2]

생태사회주의앙드레 고르츠마누엘 사크리스탄생태주의에서 영향을 받아 1980년대버켓오코너 등에 의해 연구되었으며, 이들은 마르크스엥겔스가 생태주의적 사유를 기반으로 경제를 관찰하였다고 주장하였고, 이후 '생산력의 무제한적 발전'이라는 마르크스의 테제 자체에 대한 비판으로도 이어진다.

근래 들어서는,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부각되는 민주적 사회주의 진영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으로 자리잡았다. 장 뤽 멜랑숑을 필두로 한 프랑스 좌파당[3]2013년 생태사회주의에 대한 테제를 발표하며, "무한 성장을 담보로 하는" 기존의 마르크스주의, 사회민주주의20세기 사회주의를 비판하였다.

국내에서는 진보신당에서 논의된 바 있으며, 진보신당의 후신인 노동당은 이를 공식적으로 내걸고 있다.

각주

  1. James R. O'Connor. "Natural Causes: Essays in Ecological Marxism" 1998.
  2. 윤석진. "마르크스 경제학의 생태문제 수용에 관한 일고찰."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4.
  3. 참고: 한겨레21: 사민주의가 아닌 생태사회주의로! 장석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