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좌파도서관

좌파도서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기록 목록
(최신 | 오래됨) (다음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3년 8월 17일 (목) 19:37 백두 토론 기여님이 비존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3년 8월 17일 (목) 19:34 백두 토론 기여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무'''({{언어표기|한자|無}}, {{언어표기|독일어|Nichts}})는 존재하지 않는 것 일반을 의미하는 동시에 무규정적인 규정성 일반으로서 존재와 동일한 것으로, 존재와 구별되는 존재의 대립물이다. '''비존재'''(非存在)라고도 불린다. == 개요 == {{인용문|“존재라는 것은 단순히 절대적인 무규정적인 것일 뿐이며, 이러한 무규정성에서 보자면 그것은 또한 무이다. 그러...)
  • 2023년 8월 17일 (목) 19:22 백두 토론 기여님이 존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존재'''({{언어표기|한자|存在}}, {{언어표기|독일어|Sein}})는 대상으로 간주되는 모든 사물에 내재해 있는 가장 추상적인 보편성이자 무규정적인 규정성 일반이다. '''유'''(有)라고도 불린다. {{인용문|“순수존재는 순수사유이며, 또한 무규정적이고 단순하며 직접적인 것이기에, 시초적인 것(Anfang)이라 할 수 있지만, 이 시초는 매개되지 않은 것(nichts Vermitteltes)이...)
  • 2022년 10월 11일 (화) 09:03 백두 토론 기여님이 기하학적 순서로 증명된 윤리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에티카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10월 7일 (금) 06:12 백두 토론 기여님이 에티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에티카'''》({{언어표기|라틴어|Ethica}}) 또는 《'''기하학적 순서로 증명된 윤리학'''》({{언어표기|라틴어|Ethica, ordine geometrico demonstrata}}) 네덜란드의 철학자인 바뤼흐 스피노자의 유작이다. 스피노자 사후인 1677년에 출간된 《에티카》는 실체·속성·양태에 대한 기하학적 논증을 시작으로 하여 인간 윤리의 문제에까지 이르는 방대한 체계를 지닌 저서이다. ...)
  • 2022년 7월 4일 (월) 19:04 백두 토론 기여님이 속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속성'''(한자: 屬性, 그리스어: ιδιότητες, 라틴어: Attributum)은 어떤 것에 부속되거나 부가된 것을 말한다. 마르크스 이전 철학에서 속성은 실체에 필연적으로 귀속되는 제 성질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쓰였다. == 개요 == 아리스토텔레스는 실체에 붙은, 실체에 종속된 모든 규정을 속성이라 하였다.(1030b) 그는 본질적 속성과 우유(偶有)한 속성을 구별하였다. 본질...)
  • 2022년 7월 1일 (금) 12:58 백두 토론 기여님이 국제 킬로그램 원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국제 킬로그램 원기'''({{언어표기|프랑스어|Prototype international du kilogramme}}, '''IPK''')는 1875년 5월 20일에 서명된 미터 협약에 따라 질량의 단위인 킬로그램을 정의하기 위해 만들어진 원통형 분동(Pt-10Ir)이다. 이 기준은 1889년<ref>[http://www.bipm.org/en/CGPM/db/1/1/ "Resolution of the 1st CGPM (1889)"] BIPM.</ref>에서 2018년 11월 16일<ref>[https://www.bipm.org/en/bipm/mass/ipk/ "(Former) International Pro...)
  • 2022년 6월 20일 (월) 15:59 백두 토론 기여님이 유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유가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6월 20일 (월) 15:59 백두 토론 기여님이 유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가'''({{언어표기|한자|儒家}}, {{언어표기|영어|Confucianism}})는 중국 춘추시대 말 노나라의 정치인이자 철학자인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봉건적 이데올로기이다. '''유교'''(儒敎) 또는 '''유학'''(儒學)이라고도 불린다. == 개요 == 공자의 학설은 주나라의 전통적인 생산양식이 붕괴하는 과정에서 하급 귀족의 이데올로기로 생성되었다. 공자는 인간의 사회적 지위와...)
  • 2022년 6월 2일 (목) 09:47 백두 토론 기여님이 다원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다원론'''({{언어표기|한자|多元論}}, {{언어표기|독일어|Pluralismus}}, {{언어표기|라틴어|Pluralistarum}})은 세계의 통일성을 부정하고 세계의 다원성 혹은 다수성을 현실의 기본 규정으로 삼는 세계관을 일컫는다. == 개요 == ‘''pluralismus''’은 C. 볼프가 그의 저서 《합리적 사상》에서 최초로 사용한 용어이다.<ref name="Cheol">《철학대사전》, p. 248.</ref> 그는 세계의 본질...)
  • 2022년 5월 16일 (월) 00:49 백두 토론 기여님이 자유주의 여성주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자유주의 페미니즘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5월 16일 (월) 00:48 백두 토론 기여님이 리버럴 페미니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자유주의 페미니즘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5월 16일 (월) 00:43 백두 토론 기여님이 자유주의 페미니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자유주의 페미니즘'''({{언어표기|영어|Liberal feminism}})은 자유 경쟁 자본주의 시기 산업 자본가의 당파성에 기초하여 발전한 여성해방사상 및 그 일반 이론을 가리킨다. 사회 구조에 대한 변혁 없는 정치적 개혁 과정을 통해 여성해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하는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오늘날 전반적 위기하에서 여성에 관한, 자본가계급이 지니는 모든 관점을 아우...)
  • 2022년 5월 1일 (일) 20:35 백두 토론 기여님이 분류:인도의 인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인물)
  • 2022년 5월 1일 (일) 20:34 백두 토론 기여님이 우달라카 아루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우달라카 아루니'''({{언어표기|산스크리트어|Uddālaka Āruṇi}})는 기원전 7세기에 활동했다고 추정되는 고대 인도의 교육자·철학자이다. 베다 철학에서 유물론을 주장한 이론가로 서술되어 있다. 판찰라 왕국(Panchala, 現 우타르프라데시주 칸푸르) 태생으로 학자였던 아루나 우파베시 고타마(Aruna Aupavesi Gautama)의 아들이며, 철학자인 스베타케투(Svetaketu)의 아버지로...)
  • 2022년 4월 30일 (토) 09:03 백두 토론 기여님이 본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실체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4월 30일 (토) 05:15 백두 토론 기여님이 실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실체'''({{언어표기|한자|實體}}, {{언어표기|라틴어|Substantia}})는 주로 형이상학에서 사용된 용어로, 변화무쌍한 제(諸) 사물의 근저에 놓인, 영속적이며 불변인 것을 의미한다. == 개요 == 모든 사물, 존재자는 항상 변화한다. 변화하며 갖가지 양태(樣態)를 가지는 수많은 존재자 사이에서 지속적이며 불변적으로 그 규정을 존립하는 것이 실체라고 여겨진다. 실체...)
  • 2022년 4월 28일 (목) 07:07 백두 토론 기여님이 유심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유심론'''({{언어표기|한자|唯心論}}, {{언어표기|영어|Mentalism}})은 인식 이론 영역 상의 용어로, 물질의 운동 양상의 반영으로서의 심리 작용을 거부하고, 선험적으로 존재하는 관념적 작용이 심리 작용을 구성한다는 이론이다. == 개요 == 인식 이론 및 심리학에서 유심론적 견해는 다른 견해와 비교하면 그 역사가 짧은 것으로, 서구 중세의 〈보편논쟁〉 당시 유명...)
  • 2022년 4월 25일 (월) 09:22 백두 토론 기여님이 전체주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전체주의'''({{언어표기|한자|全體主義}}, {{언어표기|이탈리아어|Totalitarismo}})는 개인을 전체의 존립을 위한 도구·수단으로 여기는 사상이다. == 용어 == 이탈리아의 자유주의 정치인인 조반니 아멘돌라(Giovanni Amendola)는 무솔리니의 사상인 파시즘을 지칭하기 위해 ‘토탈리타리스모’(Totalitarismo)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ref>Richard Pipes (1995), ''[https://archive.org/deta...)
  • 2022년 4월 25일 (월) 08:25 백두 토론 기여님이 분류:계몽주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철학)
(최신 | 오래됨) (다음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